검색 메뉴

과기정통부, 초거대AI 정책방향 논의

기사입력 : 2023-03-09 17: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식 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식 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분야 민·관 최고위 관계자들과 함께 챗GPT 대응을 위한 초거대 AI 정책방향 관련 의견수렴을 진행했다.



국내 관련 산업계는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보이는 한편, 정부에 지원 사업을 확대해줄 것을 요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식 블로그 캡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식 블로그 캡처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8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 카카오 아지트에서 열린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산업계, 학계, 정부 등 각계 인사들과 초거대AI 정책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했다.

초거대 AI, "국가 경쟁력 재고 기반"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챗GPT 같은 초거대AI 서비스를 내놓고,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서 국가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초거대 AI는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데이터 구축 및 개방, 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연구개발(R&D)지원, AI윤리 및 신뢰성 확보 등 정책들과 밀접하게 연관돼있다. 이는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됐고, 이 위에서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AI 개발 및 활용을 적극 시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초거대 AI 산업 발전 위해 "안전한 데이터 활용 지원"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초거대 AI 산업발전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한편, 데이터 수집·이용 등 전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을 최소화해 신뢰기반 AI 데이터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가명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올 상반기 수립해 발표하기 위해 준비 중이고, 새로운 AI 응용 기술로부터 개인 권리를 어떻게 보호하고 신뢰를 얻어갈지 내부 TF를 구성해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고 했다.

◇ 초거대 AI 기술 활용해, "복지·재난· 민원 해결하겠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경제·사회문제 해결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거대 AI기술을 도입해 복지, 재난, 민원 등 현안문제 해결에 활용하겠다. 더 나아가 공공업무 디지털화, 초연결 디지털 트윈 구축 등을 통해 AI, 데이터 산업 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 국내 산업계, 정부 지속적 지원 요구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한 국내 산업계는 챗GPT 등 해외의 뛰어난 생성 AI 기술에 위기감을 드러내면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요구하며 다음과 같은 의견이 오갔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예전 검색 엔진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검색이 거의 호환이 안 될 정도의 격차가 있었는데 AI에서는 격차가 많이 줄고 있다. 현재 (AI 개발을) 한국어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앞으로 기술 격차는 더 줄어들 것이다. 그 전에 조금 더 과감하고 일상생활에 실제 도움이 되는 혁신적 서비스를 누가 만들어내는지가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는 "기회를 뒤집으면 위기가 되듯 혹시라도 우리가 AI 개발의 속도를 늦추면 결국 엄청난 자본력과 속도로 격차를 벌리는 글로벌 기업에 잠식당하게 된다. 글로벌 기업이 처음에는 우리를 지원하는 것처럼 하겠지만, 가격을 올리고 따라갈 수 없는 수준이 될 수 있다. 대규모 GPU 학습 인프라에 대한 투자, 특히 국가 지원, 대기업 연계 등이 필요하다. 벤처 기업처럼 예산, 자원이 부족한 이들이 어떻게 접근하게 해줄 것이냐에 대한 지원책을 많이 강구해야 할 것이다."고 했다.

AI 스타트업 뤼튼의 이세영 대표는 "해외에서는 응용 기업과 같은 범용 AI 모델을 다양한 유즈케이스로 만들거나 기업에서는 전문가형 AI로 만들어 일련의 영역이 함께 발전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집중하는 AI 인프라 외에 응용 사업화 영역이 같이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의 이같은 목소리에 이 장관은 "민간의 초거대 AI 개발을 충분히 지원하기 위해 규제를 혁신하고 생태계 기반 조성과 함께 추가적인 R&D 과제를 발굴하고 인재 양성 부분도 세분화해서 살피도록 하겠다"라며 "초거대 AI 확산에 따라 신뢰성이나 윤리 문제, 교육, 복지 등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해서도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살피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저스티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